제약산업 민관협력 "펀드 필요성 절실"

보건산업진흥원 '제약산업 민관협력파트너십 사례 연구' 보고

정부와 제약기업들은 민관 협력연구 분야에서 글로벌 임상시험 지원을 위한 펀드의 필요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 보건산업정책연구센터는 '제약산업 민관협력파트너십(Public-Private Partnership, 이하 PPP) 사례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는 면역항암제 등 항암제 개발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았으며,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첨단 제조시설 및 기술개발 협업의 수요가 높았다. 그리고 협력연구 분야에서는 글로벌 임상시험 지원을 위한 펀드의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 제약산업 전문가들을 자문을 통해 제약산업 육성을 위해 필요한 3가지 PPP 프로그램을 제안했다. 전문가들은 면역항암제 개발을 위한 PPP에서는 바이오마커 공동연구 및 안전성⸱효능 평가 모델에서의 협력이 가장 중요하고,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는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 첨단 제조시설 및 기술협업 PPP에서는 제조 기술, GMP 시설, 규제 연구까지의 조화로운 발전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다양한 파트너들이 참여할 수 있는 포괄적 방식이 효율적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글로벌 임상을 위한 펀드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원 과제의 규모가 충분히 커야 현실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기업과 학계의 전문가 자문 결과, 민관협력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효율적인 추진체계(거버넌스)의 마련, 민간 전문가들의 참여 확대와 협력사업의 구체적 목표 설정이 강조됐으며, 최종적으로 항암연구 가속화 기구, 첨단제조협력 파트너십, 글로벌 임상시험 펀드의 3가지 프로그램들을 제안했다.

국내 제약산업 민관협력의 활성화를 위해 정책 제언으로는 통합적 추진 체계의 필요성, 민관협력 방식의 육성 정책 수립, 대학과 정부기관의 역할 강화, 국내 기업의 국제협력 PPP 참여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제약산업 민관협력파트너십 사례 연구(연구책임자 정순규 책임연구원)' 보고서는 최근 제약산업에서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PPP의 해외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내 제약산업에서의 PPP의 필요성 및 확대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문헌고찰을 통해 제약산업 PPP의 개념과 동향 분석, 유형별 분석과 기준 등을 조사했다. 현재 제약산업에서의 PPP는 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개방혁신 전략의 관점에서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정부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민간의 참여를 확대해 나가면서 수평적이고 다자간 협력의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제약산업 PPP를 개발단계와 목적에 따라 치료제 개발을 위한 PPP,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PPP, 그리고 협력연구를 위한 PPP로 구분하고, 분야별로 AMP(Accelerating Medicines Partnership), PIPS(Pharma Innovation Programme Singapore), C-Path(Critical Path Initiative) 등 해외 제약산업 PPP의 주요 사례 20개를 선정해 목적과 예산, 주요 파트너, 추진 체계, 성과 등을 조사했다.

한국 제약산업에 필요한 PPP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국내 대표적인 제약산업 PPP인 (재)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과 협력해 기업 설문조사와 전문가 자문회 등을 진행했다.

해외 사례들에서 도출한 개별 PPP의 의의와 필요성을 기반으로 국내 제약기업 종사자들에게 국내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분야에 대한 수요를 조사했다.

해당 보고서는 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